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자동차 히터 냄새 원인과 제거방법

by 와이페이모어 2023. 11. 26.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자동차 히터를 틀게 되는데 여러 가지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겨울철 쾌적한 드라이빙이 될 수 있도록 자동차 히터냄새의 원인과 제거방법, 관리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썸네일

 

 

히터의 작동원리, 에어컨과 다른 점

겨울철 자동차 히터 냄새의 원인을 이해하고 대처하려면 먼저 히터의 작동원리부터 알아야 합니다.

 

엔진을 작동하면 열이 발생하고 이 열을 식히기 위해 엔진 구석구석 냉각수가 돌아갑니다. 이때 75~95도 정도로 데워진 냉각수가 히터용 라디에이터로 들어오고 이 열을 팬이 불어주면서 따뜻한 바람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히터작동원리
자동차 히터 작동 원리 (출저-구글이미지)

 

 

집에서 보일러를 틀면 집이 따뜻해지는 원리와도 같은데 차이점은 집에서 보일러를 틀면 가스비나 기름값 등 난방비가 발생하지만, 차량의 히터는 엔진의 열을 냉각수가 회수해 난방에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돈이 들지 않습니다.

 

반면 에어컨은 다른데요, 엔진의 힘으로 차가운 바람을 인공적으로(냉매과 압축기, 증발기를 사용해) 만들어 작동되기 때문에 추가로 연비가 더 들어가게 됩니다.

 

자동차_히터
자동차 히터는 연비와 상관없다

 

 

이 얘기를 하는 이유는 자동차 히터는 연비가 들지 않기 때문에 겨울에 차 기름값 아낀다고 히터를 안 틀 이유는 없다는 것을 알려드리기 위함입니다. ^^

 

 

<쉽게 외우는 방법>

에어컨: 엔진의 힘으로 작동 -> 연비와 상관있음

히터: 엔진의 열로 작동 -> 연비와 상관없음

 

 

 

 

 

 

히터냄새의 원인 및 제거방법

 

자동차 히터냄새의 주요 원인으로는

크게 <관리 부주의에 의해 냄새가 나는 경우><자동차에 이상이 생겨 냄새가 나는 경우>  2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사용자의 관리 부주의에 의한 냄새입니다.

 

1. 필터 속 먼지 및 이물질

히터필터 안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여 있다가 히터 가동 시 이물질이 데워지며 악취가 나거나 먼지가 바람과 함께 나와 차 안 공기를 오염시키는 경우입니다.

 

2. 여름철 소홀한 에어컨 관리

여름철에 에어컨을 켰다가 끌 때 잘 말려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엔 곰팡이나 세균이 쌓이면서 겨울철 히터 가동 시 냄새를 유발합니다.

 

교체시기가 지난 필터

 

 

이때는 히터 필터를 갈아주면 냄새가 제거됩니다. 필터는 1만 km 주행마다 교체해 주는 게 정석입니다. (참고로 에어컨 필터, 히터 필터 다 같은 말임.) 너무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 필터를 사용하는 걸 권장합니다.

 

필터 교환에 대해선 뒷부분에서 한번 더 언급하겠습니다.

 

히터_악취

 

 

둘째, 자동차 이상으로 인한 냄새입니다.

 

1. 달콤한 냄새가 나는 경우 :

냉각수가 부족이거나 부동액이 누유된 때 생길 수 있습니다. 누유가 없다면 관련 부품 이상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땐 냉각수를 보충하거나 교체하고 관련 부품을 점검해야 합니다.

 

2. 기름 냄새가 나는 경우 :

기름이 새고 있을 확률이 높으므로 차량 하부의 누유 여부 확인 및 연비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 계란 썩는 냄새가 나는 경우 :

연료 분사기나 촉매 변환기(공기정화장치)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부품이 비싼 만큼 빠른 확인이 필요합니다. (보증기간이 남았을 경우 무상수리 가능)

 

4. 유황 냄새가 나는 경우 :

트랜스미션(변속기) 오일 누유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해당 부분 정비를 받아봐야 합니다.

 

5. 비닐 타는 냄새가 나는 경우 :

전기 관련 장치에 이상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

 

6. 오일 타는 냄새가 나는 경우 :

연료 탱크나 연료 파이프 이상일 수 있습니다.

 

7. 나무 타는 냄새가 나는 경우 :

클러치 미끄러짐 현상일 수 있습니다.

 

8. 가죽 타는 냄새가 나는 경우 :

브레이크 라이닝 이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9. 고무 타는 냄새가 나는 경우 :

팬벨트에 이상이 생겼는지 의심해봐야 합니다.

 

위와 같이 비닐, 오일, 나무, 가죽, 고무 등이 타는 냄새가 난다면 차량 부품 어딘가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빨리 센터나 정비소에 가서 점검받는 걸 추천드립니다.

 

팬벨트
벨트 이상 유무 체크

 

 

10. 식초, 곰팡이 냄새가 나는 경우 :

배터리가 과잉 충전되면 시큼한 냄새가 올라올 수 있습니다. 이때는 히터나 라이트 등을 모두 사용해 전기를 빨리 소모해 주면 냄새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차량이상으로_냄새가생기는_이유리스트
차량이상으로 냄새가 생기는 10가지 경우

 

 

 

 

 

 

 

 

겨울철 히터의 올바른 사용방법

 

1. 적절한 사용 온도

차량 내부 온도는 21~23도가 적절합니다. 장시간 히터 사용 시 산소 농도가 떨어져 졸음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히터와 엉따를 같이 사용하면 좋습니다.

 

 

2.. 히터 틀고 수면 금물

간혹 차 안에서 히터를 틀고 자다 숨지는 사고가 겨울철마다 뉴스를 장식합니다. 히터를 켜놓고 자게 되면 이산화탄소가 증가해 저산소증으로 질식할 수 있습니다. 히터를 틀고 자는 일은 절대 없도록 합시다!

 

방향조절
히터방향 조절

 

3. 히터 방향 조절

히터 바람이 직접적으로 얼굴을 향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피부질환, 주름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너무 춥다면 앞으로 나오는 바람은 처음에만 잠깐 틀고 이후엔 밑에서 나오는 바람을 이용하는 게 좋습니다. 어차피 따뜻한 공기는 위로 올라오기 때문에 밑으로 틀어놔도 금세 전체적으로 따뜻해집니다.

 

 

 

 

 

 

 

 

*자동차 히터에서 찬바람이 나오는 경우?

 

1. 시동을 켜자마자 히터를 가동할 때

히터는 엔진 열로 작동하는 것이라고 했는데, 시동 걸자마자 히터 켜면 엔진이 달궈지지 않아 당연히 따뜻한 바람이 안 나오고 찬 바람이 나오겠쥬?

 

시동

 

 

냉각수 온도계 바늘이 최소한 1/4 이상 올라왔을 때 히터를 켜는 게 좋습니다. 시간으로 따지자면 시동 건 후 5분 정도는 지난 후 히터를 틉시다.

 

2. 냉각수 부족과 부품고장

앞에서도 얘기했지만 엔진 열을 회수하는 냉각수가 부족하거나 서모스탯(수온조절기), 워터펌프가 고장 났을 때도 히터가 정상 작동되지 않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올바른 히터 관리방법

 

1. 여름철 에어컨 관리부터 잘하자

겨울철에 히터를 쾌적하게 사용하고 싶다면, 여름철에 에어컨 사용부터 잘해야 합니다. 에어컨을 다 사용하고 마지막엔 꼭 송풍으로 해서 창문을 열고 주행해 차내 습기를 없애고 에어컨을 잘 말려주는 습관을 가지도록 합시다.

 

2. 냉각제 레벨 확인, 히터 코어, 블로어 모터 정기 검사

겨울철 히터를 작동하기 전에 히터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냉각수, 부동액, 관련 부품 상태를 체크해 준다면 100점짜리 오너드라이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3.. 필터 상태와 교체시기 확인

오랫동안 쌓인 먼지, 세균으로 인한 악취 유발이 되지 않도록 에어컨/히터 필터를 1만 킬로마다 교체해주어야 합니다.

 

 

*히터 필터교체 혼자 할 수 있나요?

 

히터 필터는 차종에 따라 다르지만 조수석 글로브 박스를 탈거하면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에어컨 필터가 히터 필터입니다. 흔히 항균 필터, 참숯 필터 이런 게 다 히터 필터입니다.)

 

조수석글로브박스탈거
히터 필터의 위치

 

자동차 부품 DIY교체 중에 가장 쉬운 게 에어컨/히터 필터 교체입니다!

블로그에 에어컨 혹은 히터 필터 교체하는 법 관련 글 보거나 유튜브 영상 그대로 따라 하면 똥손도 해낼 수 있으니 도전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도 필터만큼은 Mann필터 사서 제가 교체합니다. 너무 간단해서 셀프로 교체하다 잘못될 일도 없습니다. ㅎㅎ

이렇게 쉬운걸 왜 돈 내고 가나요? Why pay more?

공임 아껴서 자주 갈면 나와 가족들 건강도 좋고 차에도 좋고 1석2조입니다.

 

 

겨울철 자동차 습기 제거가 궁금하다면 클릭

 

겨울철 자동차 습기(김서림) 제거, 방지법 총정리

운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건 두말할 것 없이 안전입니다. 겨울철 자동차 습기 대비가 중요한 이유는 바로 안전운행과 직결되는 문제기 때문이죠. 특히 초보 운전자일수록 급박한 상황에서 앞유

kingtip0206.tistory.com

 

 

 

오늘은 자동차 히터냄새의 원인과 제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동차도 월동준비를 해야 할 것들이 있고 그중에 하나가 히터 체크입니다. 이번 겨울 쾌적한 드라이빙 하실 수 있도록 미리미리 점검하고 안전 운행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