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겨울철 자동차 부동액 냉각수 교체주기 및 보충방법

by 와이페이모어 2023. 12. 8.

겨울철 신경 써야 할 자동차 점검 중 하나가 부동액과 냉각수인데요,

오늘은 부동액과 냉각수의 차이와 역할, 교체주기와 보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부동액_썸네일

 

 

부동액냉각수의 차이는?

자동차 엔진의 열을 식히기 위해 냉각수가 필요하다는 건 누구나 알고 계시죠?

그런데 부동액은 또 뭐고 냉각수는 뭔지 둘이 같은 건지 따로인 건지 헷갈리시는 분도 있으실 겁니다.

 

먼저, 자동차에 냉각수는 1년 내내 꼭 필요한데요,

날씨가 영상일 경우엔 냉각수로 물만 사용해도 상관이 없지만 영하로 내려가면 물은 얼어붙기 때문에 냉각수 순환통로와 엔진 실린더 헤드에 대미지를 입힐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냉각수가 얼지 말라고 부동액을 섞는 것이고, 이 비율은 그 나라와 지역의 겨울철 날씨에 따라 다른데 보통 우리나라는 물과 부동액을 1:1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보통 섞여서 나온 제품을 쓰기 때문에 (부동액=냉각수)라고 생각하고 두 단어를 혼용하기 때문에 혼란이 생기는 건데, 같은 말이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좀 더 정확히 하자면 '냉각수'는 말그대로 '엔진의 열을 냉각하는 물'이고 '부동액'은 그 '냉각수가 겨울철에 얼지 말라고 냉각수에 섞어주는 보충액' 이렇게 정리하시면 되겠습니다.

 

 

 

부동액과 냉각수의 역할

 

앞서 얘기했듯 자동차 엔진은 그 열을 식히지 않으면 운행이 불가하기 때문에 차에는 1년 365일 냉각수가 필수입니다.

 

또한 냉각수는 엔진의 열을 회수하여 자동차 히터의 따뜻한 바람을 만들어내는 에너지원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자동차 히터에 문제가 생기면 냉각수 계통을 살펴보기도 하는 거죠.

 

자동차정비

 

 

부동액은 냉각수를 얼지 않게 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라디에이터나 냉각수 관 등에 녹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코팅역할을 하는 화학성분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부동액 화학 성분에서 *단 냄새가 나기 때문에 아이들이 음료수인 줄 알고 잘못 먹는 경우가 있으니 보관에 꼭 유의하셔야 합니다!

 

 

 

 

부동액 교체주기

 

부동액은 구형 자동차는 주행거리 4~5만 km 혹은 2~3년마다 교체해 주는 게 좋고,

요즘 나온 차들은 10만 km나 10년에 한 번 교체해도 된다고 하니 신차를 뽑으셨다면 당분간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하지만 다른 이유로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오래된 차는 더 신경을 써야 함. 겨울철엔 한 번쯤 체크!)

 

가끔 영화에서 보면 냉각수가 없어 본넷에서 연기가 나고 차를 세우고 응급 처치하는 장면들이 나오는데, 일상에서 그런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만 그래도 혹시 냉각수 경고등이 떴다거나 주위에 정비소는 없고 급하게 냉각수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가장 좋은 건 수돗물을 사용하시면 되고 지하수는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그 이유는 미네랄 성분이 있으면 냉각수 순환계통에 안 좋기 때문입니다.

(그냥 증류된 순수한 물이 가장 좋음. 미네랄 성분이 포함된 생수도 안 좋음)

 

 

부동액 셀프 보충 및 유의 사항

 

부동액 셀프 보충은 몇 가지 점만 주의하시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1. 시동을 끈 후 반드시 엔진 열이 충분히 식은 다음에 보충 (식기 전에 열면 냉각수가 끓어넘칠 수 있으니 반드시 주의!)

 

2. 워셔액과 헷갈리지 말 것. 워셔액에는 와이퍼 모양이 그려져 있습니다.

 

부동액과워셔액

 

3. 보충시 기존에 들어있는 부동액 컬러를 확인한 후 그것과 같은 색깔로 넣어줄 것

 

4. 보충시 부유물이 보이게 되면 교체가 필요하므로 셀프보다는 정비소에서 교체할 것

 

5. 보충시 바닥에 흘리면 동물이 먹고(단 냄새가 나기 때문) 생명에 지장을 입을 수 있으니 흘렸다면 꼭 뒤처리를 할 것.

 

 

 

자동차 엔진오일 교환주기 궁금하다면 클릭

 

자동차 엔진오일 교환주기 교환비용 세이브

오늘은 자동차 관리의 가장 기본이며, 자주 교환해야 하는 소모품인 엔진오일에 대한 기본 상식과 교환주기, 교환비용, 비용 세이브 하는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엔진오일의 역할과 교

kingtip0206.tistory.com

 

 

이상으로 겨울철 자동차 부동액과 냉각수의 차이와 역할, 교체주기, 보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부동액과 냉각수 관리는 조금만 알고 있다면 충분이 셀프로 관리하실 수 있고 응급 시 당황하지 않고 대처하실 수 있으니 알고 계시면 좋겠네요.

올 겨울도 안전 운행하세요~!